본문 바로가기

일반정보

자동차세 (개인/법인/미납/체납) 조회 및 자동차세 계산법 알아보기

반응형

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꼭 알아야 할 필수 정보 바로 자동차세입니다 이 글에서는 자동차세 계산법과 개인, 법인차세 조회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 

자동차세 조회방법 및 계산법

 

목차 

 

개인/ 법인 / 미납 자동차세 조회 방법 

 

1. 개인 자동차세 조회 방법 

구분 세부내용
위택스 1) 위택스 로그인 (공동인증서, 간편인증 등 필요) 
2) "조회/발급" 메뉴에서 "자동차세"를 선택 
3) 본인의 차량 정보 및 납부 내역 확인 가능 
정부24 1) 로그인 후, "자동차세 납부내역 조회" 검색 
2) 본인의 차량에 대한 납부 정보를 확인 
ARS서비스 1) 각 지역 지방자치단체의 자동차세 ARS 전화번호로 조회 가능 
2) 전화 후 차량 번호와 본인 확인을 통해 미납 여부 확인 가능 
카드사 및 은행 앱 -  KB국민, 신한, 삼성 NH농협 등 카드사 앱에서 자동차세를 조회하거나 납부 가능 
- 은행 앱(국민, 우리은행 등)에서도 동일하게 확인 가능 

 

개인자동차세 조회 바로가기!!

 

2. 법인 자동차세 조회 방법 

구분 세부내용
위택스 법인 계정 1) 법인용 계정을 통해 로그인 후, 위택스에서 자동차세 조회 가능 
2) 필요 시 공인인증서(법인용) 준비 필요 
세무 대리인 요청 - 세무사를 통해 자동차세 납부 내역 및 체납 여부를 확인 
지방자치단체
세무부서 문의 
- 법인 차량이 등록된 관할 지자체 세무부서에 직접 문의 

 

법인자동차세 조회 바로가기!!

 

3. 미납 및 체납 자동차세 조회 

구분 세부내용
마납 조회 1) 위택스 또는 정부24에서 본인 인증 후 미납 여부를 확인 가능 
2) "체납 조회" 또는 "미납 내역 조회" 메뉴 선택 
체납 조회 - 자동차 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(법인은 사업자등록번호)로 체납 여부 조회 가능 
- 지방세 체납의 경우 해당 시.군.구청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 
신용정보사
체납 조회
- 심각한 체납이 있다면 신용정보회사에도 기록될 수 있으므로 개인 신용 정보 조회 시 확인 가능 

 

 

자동차세 계산 방법 및 문의처

자동차세는 차량의 배기량(cc), 차량종류, 등록연도 그리고 일부 특수 조건에 따라 산출됩니다 

 

1. 자동차세 계산법

구분 계산방법
승용차(비영업용)  1) 배기량 기준으로 정해진 세율에 따라 부과 
2) 예: 
 - 1,000cc 이하: 1cc당 80원 
 - 1,000 ~ 1,600cc: 1cc 당 140원 
 - 1,600cc 초과: 1cc당 200원 
3) 계산 예시: 배기량 1,500cc 차량 
  -> 1,500 X 140 = 210,000원 (연간 세액) 
승합차, 화물차, 특수차 1) 차량 종류와 용도에 따라 정액으로 부과 
 - 승합차: 65,000원 (소형), 115,000원 (대형) 
 - 화물차: 적재량에 따라 13,000원 ~ 36,000원 
감가상각 적용
(경과 연수별 할인)
1) 차량 등록 연도에 따라 세액이 감면됩니다 
 - 3년 경과: 5% 감면 
 - 4년 경과: 10% 감면
 - 이후 매년 5%씩 추가 감면, 최대 50%까지 할인 가능  

 

자동차세 조회방법 및 계산법 자동차세 조회방법 및 계산법 자동차세 조회방법 및 계산법

 

 

2. 자동차세 관련 문의처 

  • 위택스 고객센터: 110 (정부 민원 콜센터) 
  • 지방자치단체 세무부서: 자동차가 등록된 지역의 시청 또는 구청 세무과에 문의 

 

"자동차세는 꼼꼼히 확인하고 제때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할인 혜택을 놓치지 않고 효율적으로 관리해 보시기 바랍니다" 

 

반응형